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가덕산[경기가평]

아름다운산행/산행정보·우리명산

by 마루금(김두영) 2008. 7. 21. 19:54

본문

가덕산[경기가평]

가평터미널 - 버스 25분 - 신당삼거리(7분) - 툿골입구(37분) - 서낭고개(55분) -690봉(24분) 852삼거리(16분) 가덕산

 

 

 

몽덕산은 경기도 가평군과 천성군 서면 오월리와 경계를 이루면서 그리 높지 않은 산이다. 경기도 가평군과 강원도 춘성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능선상에 계관산(710m), 북배산(867m), 가덕산(858m), 몽덕산(680m) 등 네 개의 산이 연이어있는데 따로따로 산행해도 좋지만 이 산들을 연결하여 종주하는 것도 대단히 의미있다.
경기와 강원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이 능선상에 방화선이 구축되어 넓게 길이 잘 뚫려있고 굴곡이 그리 심하지 않아 겨울철 능선 종주산행지로 적격이다. 

 

경기 제1봉인 화악산(1,468m)에서 동남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상에 솟아있는 가덕산(858m)은 몽덕산과 북배산의 능선 중간에 자리잡고 있다. 수백평의 억새밭인 가덕산 정상에 오르면 서북방향으로 화악산이 보이고, 남쪽으로는 목동평야와 북배산, 계관산 너머로 삼악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한눈에 들어 온다.  
동쪽으로는 의암호와 춘천호, 그리고 호반의 도시, 춘천시가 보인다. 가덕산은 계관산, 북배산, 몽덕산과 더불어 내개의 산을 연결하여 등산하는 유명한 종주코스이다. 이 능선에 구축된 등산길은 넓게 길이 잘 뚫려있고 굴곡이 심하지않아 겨울철 능선 종주산행지로 적격이다. 어진 덕이 몽실몽실 피어오르는 것 같다고 하는 몽덕산을 비롯하여 가덕산은 경기 제1고봉인 화악산의 지맥으로 주능선을 따라 방화선이 형성되어 있다.이 방화선을 따라, 억새가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하얀 눈이 쌓이면 만리장성 같은 장관을 연출하기도 해 초겨울 산행코스로 인기가 높다.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와 강원도 춘천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북배산은 주변의 화악산(1,468m), 매봉(1,436m) 등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며 즐겨찾는 이가 많지 않아 호젖한 산행으로 적당한 산이다. 능선에는 싸리, 억새풀 숲을 이루고 있고 전망에도 매우 좋다.
북배산 코스는 대개 목동2리 맴내 - 작은멱골을 경유하거나 또는 싸리재(마을) - 싸리재고개를 경유해 정상을 다녀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다. 또 다른 코스는 아직 사람들의 발길이 덜 닿아 유현(幽玄)한, 작은멱골과 싸리골 사이에 있는 504m봉 능선 코스다.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개곡리 산 135번지. 계관산은 초원능선 코스만으로도 사계절 인기있다. 봄에는 온갖 아르다운 꽃들이 화원을 이루고, 여름에는 초록빛 카페트를 깔아놓은 듯한 초원을, 가을에는 억새군락이 노란 띠를 두르고, 겨울에는 하얀 만리장성에 하얀 융단을 깔아 놓은 듯한 풍광을 보여준다.

화학산 줄기를 이은 북한 강변의 산 계관산은 몽덕산(680m)에서 뻗어 내린 능선이 가덕산(858m),북배산(867m)을 일으키고 싸리재를 지나 서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우뚝 솟아 있는 계관산은 강원도 춘천시 서면과 경기도 가평군 북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산행코스: 화악 초교~서남고개~큰멱골~ 갈림길~퇴골고개~전명골재~삿갓봉 갈림길~가덕산~앵상골고개~삼거리~

                       533봉~서남고개~화악초교(날머리)

 

♠ 계관산, 북배산, 가덕산 종주코스(7~8시간)

목동터미널 - 성황당 - 목동2리 임도입구 - 임도 고개마루(산불감시초소) - 능선삼거리 - 계관산정상 - 싸리재 - 690봉 - 북배산정상 - 퇴골고개 - 전명골재 - 가덕산정상 - 740봉 삼거리 - 낙엽송숲 - 채석장 - 중간말

♠ 몽덕산, 가덕산, 북배산, 계관산 종주코스(7~8시간 소요)

윗홍적 버스종점 - 홍적고개 - 몽덕산 - 가덕산 - 퇴골고개 - 북배산 - 싸리재 - 계관산 - 서릉 - 능선삼거리 - 임도 - 싸리재 버스종점

♠ 계관산코스(3시간 30분)

싸리재 버스종점 - 싸리재 - 계관산 - 서릉 - 능선삼거리 - 싸리재 버스종점

♠ 북배산코스(4시간 30분)

밤벌주차장 - 큰멱골 - 퇴골고개 - 북배산 - 작은멱골 - 밤벌주차장

♠ 몽덕산 - 가덕산코스(5시간)

윗홍적 버스종점 - 홍적고개 - 몽덕산 - 740봉 삼거리 - 850봉 - 가덕산 - 퇴골고개 - 큰멱골 - 밤벌주차장

♠ 몽덕산코스(3시간20분)

윗홍적 - 홍적고개 - 몽덕산 - 740봉 삼거리 - 채석장 - 윗홍적

 

 

♣ 가덕산 (858.1m)
경기 제1봉인 화악산(1,468m)에서 동남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상에 솟아있는 가덕산(858m)은 몽덕산과 북배산의 능선 중간에 자리잡고 있다. 수백평의 억새밭인 가덕산 정상에 오르면 서북방향으로 화악산이 보이고, 남쪽으로는 목동평야와 북배산, 계관산 너머로 삼악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한눈에 들어 온다.  
동쪽으로는 의암호와 춘천호, 그리고 호반의 도시, 춘천시가 보인다. 가덕산은 계관산, 북배산, 몽덕산과 더불어 내개의 산을 연결하여 등산하는

유명한 종주코스이다. 이 능선에 구축된 등산길은 넓게 길이 잘 뚫려있고 굴곡이 심하지않아 겨울철 능선 종주산행지로 적격이다.

어진 덕이 몽실몽실 피어오르는 것 같다고 하는 몽덕산을 비롯하여 가덕산은 경기 제1고봉인 화악산의 지맥으로 주능선을 따라 방화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방화선을 따라, 억새가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하얀 눈이 쌓이면 만리장성 같은 장관을 연출하기도 해 초겨울 산행코스로 인기가 높다.

 

○ 큰멱골 - 멱골수양관 - 상골 - 정상(3시간 30분)
○ 윗홍적 - 산속한옥마을 - 남실고개 - 정상(3시간)
○ 가덕산 : 윗흥적리 - 동쪽계곡 - 가덕산 - 앵상골 - 큰멱골 - 화악리 : 11km, 4시간 30분 소요
○ 윗홍적 - 광산골 - 납실고개 - 850m봉 -   정상 -   퇴골고개 - 앵상골 - 큰멱골 -   맴내 - 성황당 ( 약 16km, 7시간 )
○ 몽덕산 : 마장이 고개 - 몽덕산 정상 - 탑둔지 ( 8km, 3시간 )
○ 북배산 : 맴내 - 큰멱골 - 퇴골고개 - 북배산 정상 - 작은멱골 - 맴내 (약 13km, 5시간 ) 

 

가평행 기차편, 직행버스 이용
가평 - 윗홍적 (0:40 소요) -시내버스 이용  1일 3회 (10:21,13:30,18:00) 운행

 

 

북배산 산행기점은 가평에서 목동을 거쳐 화악리로 들어서는 작은 고개를 넘자마자 나오는 성황당 버스종류장이다(가평서 버스로 20분 거리).

싸리골 계류가 가평천으로 흘 러드는 지점이기도 하다. 성황당 마을이 있는 소법리 가평천 일원은 서쪽 수덕산과 동쪽 북배산이 마을을 에워싸고 있다.

성황당교에서 동쪽으로 들어서는 포장길로 약 1km 거리에 이르면 삼거리가 나타난다.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는 '북배산 3km' 라고 쓰인 초록색 간판이

보인다. 이 화살표 방향은 큰멱골로 들어서는 길이다. 여기에서 간판과 상관없이 동쪽 다리(평묵교)를 건너 2km 더 들어서면 목동2리 싸리재 버스종점인

콘크리트 마당이 나타난다. 승용차를 가지고 갔을 경우 노선버스가 돌아나가는 데 지장이 없도록 계류쪽에 주차해야 한다.

산행은 버스종점에서 왼쪽 산기슭으로 보이는 단군성전 건물에서 시작한다. 단군성전 앞에 이르면 왼쪽으로 외딴 농가가 있다.

이 농가에서 북으로 난 계곡길로 들어서면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 서서히 경사도를 높이는 계곡 안으로 약 10분 거리에 이르면 합수점에 닿는다.

합수점에서 오른쪽길로 발길을 옮길수록 갈대숲길은 험해진다. 8~9분 거리에 이르면 오래된 묵밭을 지나 하늘을 가리는 잣나무숲으로 올라간다.

급경사에 두툼하게 깔린 갈비가 매우 미끄럽다.
8분 가량 올라가면 작은멱골이 내려다보이는 북배산 서릉을 밟는다.

이 서릉에서 동쪽으로 발길을 돌려 바위지대를 지나 5분쯤 올라가면 504m봉이다.

핼기장이 있는 이 봉에 올라서면 전망이 시원하다. 목동분지, 멀리 가평읍, 화악산, 응봉 등이 가물가물 보인다.

남쪽 싸리골 건너로는 계관산이 마주 보인다.  504m봉에서 계속 능선을 타고 약 15분 정도 오르면 오른쪽 아래로

펼쳐지는 송림이 볼 만하다. 25분 정도 더 가면 나타나는 잣나무숲도 일품이다. 잣나무 밑둥이 모두 아름드리로 수백 주가

어둠침침한 숲그늘을 드리고 있고골바람이 시원해 쉬어가기 그만이다.
잣나무숲에서 왼쪽으로 휘어져 올라간다. 곧이어 성주이씨 무덤이 나타나고 계속 올라가면 능선 좌우로 두릅나무군락이 계속 나타난다.

두릅지대를 벗어나 20분 가량 올라가면 북서쪽 작은멱골에서 올라오는 기존 등산로와 만나는 삼거리에 닿는다.

여기서 25분 가량 더 오르면 북배산 정상이다.삼각점(춘천 23)이 박혀있는 정상에서 바라보는 조망은 막힘이 없다.

먼저 북서쪽으로는 북배산의 모산인 화악산이 하늘금을 이루고, 그 오른쪽으로는 북배산을 향해 세차게 흘러나오는

응봉, 촛대봉, 몽덕산, 가덕산 줄기가 연이어져 시야에 들어온다.
동쪽으로는 병풍을 두른 듯한 대룡산 아래로 평화로운 춘천시내와 의암호가 펼쳐진다.

춘천시내에서 왼쪽 멀리로는 용화산을 필두로 오봉산, 부용산, 사명산, 가리산이 아련하게 바라보인다.

대룡산 오른쪽 멀리로는 구절산도 시야에 와닿는다.남쪽으로 펼쳐지는 조망도 일품이다. 가장 멀리로 용문산이 하늘금을 이루고

그 아래 좌우로는 도명산, 대명스키장 슬로프, 장락산, 소리산 등이 넘실대는 파도처럼 광활하게 시애에 들어온다.

서쪽으로는 구나무산, 명지산, 월출산, 수덕산이 마주보이고, 구나무산 왼쪽 아래로 자리한 가평읍과 북한강이,

수덕산 아래로는 목동분지가 내려다보인다.

정상에서 하산은 올라갔던 코스를 역으로 삼거리나 잣나무숲에 이른 다음, 작은멱골이나 싸리골 상단부로 내려서면 된다.

정상에서 방화선을 이룬 남릉으로 10분 거리인 삼거리에 이르러 오른쪽 남서릉을 타고 내리는 코스도 권할만 하다.

 

 

○ 싸리재 버스종점 - 단군성전 - 북쪽 계곡 - 504m봉 - 잣나무숲 - 정상 - 남릉 삼거리 - 남서릉 - 싸리골 - 싸리재 마을 ( 약 9km, 5시간 )
○ 하남종 - 큰멱골 - 퇴골고래 - 정상 - 작은멱골 - 하남종 ( 약 4시간 )
○ 싸리재마을 - 싸리재골 - 정상 - 퇴골고래 - 퇴골 - 신매저수지 - 서상2리 ( 약   5시간)
○   하남종 - 작은멱골 - 정상 - 동남지릉 - 헬기장 - 신매저수지 - 서상2리 (약 5시간

 

 

○ 가평에서 목동을 거쳐 화악리로 들어서는 작은 고개를 넘자마자 나오는 성황당 버스 정류장이다.

    북배산 코스는 대개 목동 2리 맴내에서 작은멱골을 경유하거나 싸리재마을에서 싸리재고개를 경유해 정상을 다녀온다.
○ 서울 상봉터미널에서 가평군 목동행 직행버스가 하루 9차례 운행. 춘천행버스로 가평서 내려 목동행 버스를 이용해도 된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