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의 마찰로 독도 문제가 한창 이슈화되고 있는 시기에 발맞춰
EBS TV에서는 독도의 식물생태와 해양 동물생태를 탐사하고, 독도의 새노래 제작, 독도의 지도 제작 및
독도의 개발 가능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식물 및 동물, 작곡가 겸 가수, 지도 전문가, 건축가로 구성된
5인의 독도특공대를 조직하여 8월 5일부터 14일까지 일정을 잡아 다큐멘터리를 촬영하였답니다.
(사정상 해양동물생태 분야는 나중에 개그지망 대학생으로 대체됨.)
식물전문가로는 제가 참여하게 되었는데, 독도에서 머무는 약 7일간의 일정이 정말 빡빡하게 정신없이 돌아갔고,
탐사일정 내내 날씨가 다행히 좋았던 탓에 독도의 생태를 샅샅히 탐사할 수 있었답니다.
특공대로 선발된 5명 이외에도 PD 3명이 함께 갔었는데, 방송카메라 3대는 번갈아가면서
24시간 종일 돌면서 독도의 모든 정보를 아낌없이 촬영하기에 바빴답니다.
촬영된 내용은 다큐멘터리로 제작되어 방송이 되는데,
8월 26일(화) 1부, 9월 2일(화) 2부로 편성이 되어 EBS TV를 통해 방송이 된답니다.
방송 시간은 오후 7시 50분부터 8시 40분까지, 각 50분간씩 2회랍니다.(제목-"5인의 독도특공대")
우리땅 독도의 비경과 소중함을 잔뜩 담은 알찬 정보를 이 시간에 맘껏 확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독도의 일출과 월출 장면, 식물생태 사진은 나중에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하늘공간/이명호 -
[ 1. 동도 전경 - 서도 어민숙소에서 촬영 ]
[ 2. 동도 전경 - 서도 정상에서 촬영 ]
[ 3. 동도 전경 - 선상 촬영 ]
[ 4. 서도 전경 - 동도 선착장에서 촬영 ]
[ 5. 서도 전경 - 동도 정상에서 촬영 ]
[ 6. 서도 전경 - 선상 촬영 ]
[ 7. 서도(앞쪽)와 동도(뒤쪽) - 선상 촬영 ]
[ 8. 서도(앞쪽)와 동도(뒤쪽) - 선상 촬영 ]
[ 9. 일출봉 - 동도 정상 ]
[ 10. 대한봉 - 서도 정상 ]
[ 11. 일출봉과 대한봉 - 두 섬의 정상 ]
[ 12. 두 섬 사이의 풍경 ]
[ 13. 삼형제굴바위 ]
[ 14. 촛대바위와 삼형제굴바위 ]
[ 15. 촛대바위와 삼형제굴바위 근접 ]
[ 16. 촛대바위 ]
[ 17. 삼형제굴바위 ] - 동도 정상에서 촬영
[ 18. 삼형제굴바위 근접촬영 ]
[ 19. 미역바위(좌측앞), 탕건봉(좌측뒤), 촛대바위(중앙), 삼형제굴바위(우측) ]
[ 20. 닭바위 ]
[ 21. 동도 계단 ]
[ 22. 서도 계단 ] - 아주 가파르고 위험
[ 23. 죽음의 계곡 - 서도 뒤편 물골 가는 길 ] - 밧줄을 타고 다녀야 함.
[ 24. 선착장과 숫돌바위(좌측), 부채바위(우측), 동키바위(뒤쪽) ] - 일반 관광객은 20분 관광 후 모두 승선하여 출발함.
[ 25. 동도 선착장과 독도할아버지의 배 ] - 동도와 서도를 오가는 유일한 배임.
[ 26. 동도 경비대와 등대 ]
[ 27. 천장굴 분화구 - 동도 ]
[ 28. 악어바위 - 동도 ]
[ 29. 괭이갈매기 한쌍 - 경비대 뒤쪽 시설물 지붕 위 ] - 암수는 각각 어느 쪽일까요?
[ 30. 독립문바위 ]
[ 31. 독립문바위와 첫섬 ] - 앞쪽의 첫 바위가 동도의 동쪽 끝 바위랍니다.
[ 32. 독립문바위와 한반도모양 ]
[ 33. 한반도모양 근접촬영 ]
[ 34. 장군바위 - 동도 성화대에서 촬영 ]
[ 35. 얼굴바위 - 동도 ]
[ 36. 동도의 동쪽 바다 ]
[ 37. 어민숙소 - 서도 ] - 우리 촬영팀이 1주일간 묵었던 숙소
[ 38. 대한봉 뒤쪽 풍경 - 서도 ]
[ 39. 서도 정상인 대한봉 꼭대기에 앉은 괭이갈매기 ]
[ 40. 몽돌 ]
[ 41. 몽돌 - 서도 물속 ]
[ 42. 몽돌해수욕장 ]
[ 43. 탕건봉 - 서도 ]
[ 44. 탕건봉 정상(암맥) ]
[ 45. 한국 - 경비대 뒤쪽 초소 앞 바위절벽 ]
[ 46. 대한민국 동쪽 땅끝 ] - 동도 선착장 안쪽에 위치
[ 47. 대한민국영해기점 - 동도 경비대 뒤쪽 정상부에 위치 ]
[ 48. 독도영토표석 ] -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입증하는 중요 자료임.출처 : 등어리산악회
메모 :